[JAVA]/01. 변수

10. 변수의 종류 ( 기본형)

76beny 2022. 4. 12. 11:40

목차

- 기본형변수

-정수형

-실수형

-문자형

-논리형


기본형 변수

  • 변수의 타입은 저장할 값의 타입에 의해 결정된다.
  • 저장할 값의 타입과 일치하는 타입으로 변수를 선언
  • 실제값을 저장

 

정수형

  • 정수값을 저장하는데 사용. 주로 int, long사용
  • 정수형범위:-2(n-1)승~2(n-1)승-1이다

■ int

  • int age=5;(예시)
  • 크기 : 4byte
  • 표현범위 : -2(의 31승)~2(의31승)-1 ⇒ -20억~20억 (20억 보다 큰거는long)

■ byte

  • 이진데이터 다루는데 사용
  • 크기 : 1byte
  • 표현범위 : -2(의 7승)~2(의7승)-1 ⇒ -128~127

■ short

  • C언어와 호환성 위해 추가됨(잘안쓰임)
  • 크기 :  2byte⇒16bit
  • 표현범위 : -2(의15승)~2(의15승)-1 ⇒ -32768~32767

■ long

  • 100L⇒ Long타입
  • 표현방법 : long 1= 10_000_000_000L; ⇒ int 타입 20억 이상은 L;꼭 붙여야함
  • 크기 : 8byte
  • 표현범위-2(의 63승)~2(의63승)-1 ⇒ -800경~800경 (만약 이 범위를 넘을 경우는 실수범위,big int 사용)

 

실수형

■ E38⇒E는 10의n승나타냄⇒10의38승

■ 오차발생 가능하기때문에 정밀도가 중요

■ 부동소수점 연산일 경우 정확한 연산이 불가능 함으로 항상 표현범위를 제한해야 함!->소수점2번째 등

■ double

  • double d=3.14d; d는 생략 가능
  • 실수형의 기본타입
  • 저장가능범위 : -4.9E-324~-1.8E308 & 4.9E-324~1.8E308
  • 정밀도 : 15자리(오차없는 자리수)
  • 크기 : 8byte⇒64bit

float

  • 뒤에 f나F를 붙여야 함.
  • float f=3.14f;
  • f 는 생략 불가능
  • 저장가능범위 : -1.4E-45~-3.4E38 &1.4E-45~3.4E38
  • 정밀도 : 7자리(오차없는 자리수)
  • 크기 : 4byte⇒32bit
  • BigDecimal ( 그냥 알고만 있기)
    • BigDecimal로 소수점을 정확하게 표현은 가능하나 함부로 쓰지 말것!
    • 부동소수점 대비해서 처리속도가 현저하게 느림으로 주의 필요!
    • 부동소수점 자체가 정수연산 대비10배가 느린데, 저거는 부동소수점에 10개가 더 느림!

 

문자형

  • 문자를 저장하는데 사용
  • 변수 당 하나의 문자만 저장할수 있음( 여러문자는 String만 가능)

ch

  • char ch=’가’
  • 표현범위 : 0~2(의16승)-1 ( 부호가 없기때문에 0부터가 범위)
  • 크기 : 2byte

 

논리형

  • true와 false중 하나를 값으로(하나만저장가능) 가지며, 조건식과 논리적 계산에 이용.
  • 기본값은 false
  • 이때 true 와false는 소문자여야한다

■ 예시

//4. 논리형 : boolean(1)
		boolean isReasonable = true;
		System.out.println(isReasonable);
		isReasonable= false;
		System.out.println(isReasonable);

"본 인터넷 사이트 내의 모든 이미지, 문구, 콘텐츠, 내용 등에 대한 저작권은 76beny에게 있습니다.

이를 무단으로 도용, 복사, 전재, 재배포, 2차 변형 등을 할 경우

민, 형사상 법적 조치 등 저작권법에 의거하여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.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