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DB]/02. DB모델링
06. 반정규화(De-Nomalization)
76beny
2022. 5. 9. 22:36
반정규화(De-Nomalization)
- 정규화 작업이 완료된 후 데이터 물리 모델링 과정 중 시스템의 성능 향상, 개발 과정의 편의성, 운영의 단순화를 추구
- 중복은 감수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(특히 검색 속도)
- 정규화를 통한 데이터 무결성 유지도 중요하지만, 다수 사용자가 동시 이용하는 환경에서 일정 성능을 유지하는 것도 매우 중요
반정규화 사례 - 엔티티의 통합
■ 항상 혹은 대부분 조인에 의한 검색을 하고, 검색이 빈번히 이뤄지는 두 엔티티를 대상으로 함
반정규화 사례 -수직분할에 의한 반정규화
■ 엔티티의 튜플 수 및 속성의 수가 매우 많고, 엔티티의 속성들이 그룹화되어
각 그룹이 특정 부서 혹은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서만 사용될 때
반정규화 사례 - 수평분할에 의한 반정규화
■ 한 테이블 내에서 튜플의 조회 빈도에 따라 엔티티를 분할
반정규화 사례 - 속성의 중복에 의한 반정규화
■ 조인을 이용하여 가져다 쓰는 속성의 수가 적을 때 엔티티의 통합은 비효율적이므로
속성을 중복하여 저장
반정규화 사례 - 관계에 대한 반정규화
■ 속성의 중복에 의한 반정규화와 비슷하나 차이가 있다면 중복을 하는 속성이 다른 엔티티와의
관계를 맺어주기 위한 외래키로 사용 (조인해야 할 엔티티를 줄여줌)
"본 인터넷 사이트 내의 모든 이미지, 문구, 콘텐츠, 내용 등에 대한 저작권은 76beny에게 있습니다.
이를 무단으로 도용, 복사, 전재, 재배포, 2차 변형 등을 할 경우
민, 형사상 법적 조치 등 저작권법에 의거하여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."